본문 바로가기

독서3

구의 증명 (아직 쓰는 중) p.9 궁금하다. 천 년 후 사람들은 과연 어떤 일에 충격을 받은지, 혐오를 느낄지, 공포를 느끼고 불안해할지, 모멸감에 빠질지, 어떤 일을 비난하고 조롱할지, 어떤 자를 미친 자라고 부를지. 어떤 이야기에 공감하고 무엇을 갈망할지. 천 년 후의 아름다움과 추함, 선과 악. 그때에도 돈이 존재를 결정할까. 대체 뭘 먹고 살까. 자금의 '인간적'이라는 말과 천 년 후의 '인간적'이라는 말은 얼마나 다를까.... p.10 터무니없는 것을 받아들여야 할 때 믿음은 아주 유용하다. 말도 안돼, 라는 말이 튀어나오는 일에야 믿음이란 단어를 갖다붙일 수 있다는 말이다. 일단 믿으라, 그러면 말이 된다. p.16 너는 좀 더 일찍 왔어야 했다. 내가 본 마지막 세상은 너여야 했다. p.17 상상해보지 않은 건 아니었.. 2020. 12. 6.
시선으로부터 p.8"붓다도 제자들한테 아무것도 하지 말라고 했는데, 누가 그 말을 듣긴 들었냐? 온 아시아가 절로 뒤덮였지, 십 주기니까 딱 한번만 지내고 싶어." p.11우윤은 할머니가 행복했는지 확신할 수가 없었다. 우리가 가진 조각들이 다르네, 할머니가 나눠준 조각들이 다른가보네, 하고 말하고 싶었지만 역시 하지 않았다. p.13누군가의 부인이란 설명이 먼저 오는 것에 아연함을 느꼈었다. 이렇게 대단한 걸 그려도 그보다 중요한 정보는 남성 화가의 배우자란 점인지, p.14대중의 가벼운 사랑과 소수의 집요한 미움을 동시에 받았다. 쉽사리 희미해지는 사람이 아니었다. 시대에 따라 다른 평가를 받았는데 세상을 뜨고 십 년이 지나자 사람들이 어디선가 자꾸 조각 글과 영상들을 발견해냈다. p.16분노를 연료 삼아서는 안.. 2020. 9. 2.
변영주 - 영화로 더 나은 세상을 꿈꾸다. p.12,13 영화란 '세상을 좀더 바르게, 좋게 만들기 위해, 보다 많은 사람들의 행복을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이 지치고 힘들 때 위로를 주는 것' 영화만큼 그 영화가 만들어진 시대와 사회를 명백하게 발현하는 대중예술이 없기 때문입니다. p.17 영화는 이처럼 고도의 기술력과 자본의 집중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여기서 이윤을 남기려면 국제적인 배급망이 필요합니다. 전세계 어디에서든 자본과 기술, 그리고 국제적인 배급망, 이 세가지를 모두 쥐고 있는 건 가진 자들밖에 없습니다. 그러다보니 영화는 필연적으로 가진 자의 담론, 즉 그 사회를 운영하는 사람들의 담론 안에서 만들어질 수 밖에 없는 것이지요. p. 18, 19 독립영화란 자본이 집중된 스튜디오와 국제적인 배급망으로부터 독립적인 영화인 것이지요. 즉 .. 2020. 7. 9.